![]() | 2017.03.01 11:03:28 4,245 |
던전에서 죽기싫어 - 픽셀던전의 유사성
모바일 |
개인적으로 로그라이크게임을 좋아라해서 모바일로도 이런저런 로그라이크 게임을 받아서 하는데요
던전에서 죽기싫어 라는 모바일 로그라이크가 평이 굉장히 좋길래 다운받아서 해봤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픽셀던전이라는 게임과 너무 비슷하네요. 이거 빼박 표절인 것 같은데 아무런 이야기가 나오지 않아 신기해서 적어봅니다.
1. 티어별로 정해져있는 무기들
뭐 이거야 어쩌다보니 겹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 아이템과 마법의 유사성
- 거의 모든 포션 아이템이 픽셀던전과 완벽하게 동일합니다. 힘 포션, 화염포션, 빙결포션, 투명화포션, 비행포션, 독포션 등등... 뭐 이정도야 어디서든 나올 수 있는 포션들 아니냐.. 라고 생각할 수 있지요. 근데 그게 아래 3번 항목과 겹쳐지면서 상당히 꾸리꾸리한걸로 돌변합니다. 자세한건 3번항목에 설명
- 씨앗 아이템이 있고, 그 씨앗아이템을 던진 후 던진 타일을 밟으면 씨앗에 해당하는 효과가 일어남(씨앗 아이템의 종류도 동일합니다)
* 풀이 자라게 하는 마법(4번항목에 관련 설명이 있습니다.)
3. 던전 구조의 유사성
이게 진짜 아무리 생각해도 빼박캔트인데요.
- 그 층에 잠긴 문이 있으면 무조건 열쇠가 그 층에서 나옴
* 열리지 않는 문이 있으면 위층에 반드시 낭떠러지에 떨어져서 아래층의 잠긴방으로 진입할 수 있는 구조가 있음
- 바리케이트로 막혀있는 방이 있고, 그 바리케이트에 화염포션을 던지면 바리케이트가 불타 그 방으로 진입 가능. *바리케이트가 있는 층에는 무조건 화염포션이 하나 이상 나옴.
* 풀 타일로 가득찬 방이 있고, 해당 방에 진입하면 체력회복속도가 빨라짐
* 물타일로 가득차있고, 식인 물고기 '세 마리'가 반드시 서식하며, 해당 방의 끝쪽에 아이템이 있는 구조의 방이 나옴.
- 함정으로 가득찬 방이 있고, 해당 방의 끝쪽에 아이템이 있는 구조의 방이 나옴
* 비석이 있는 방이 있고, 해당 비석을 클릭하면 아이템이나 유령(몬스터)이 출현함.
* 석상이 있는 방이 있고, 해당 석상은 반드시 인챈트 된 무기를 사용하여 플레이어를 공격함. 석상을 파괴하면 반드시 그 인챈트 된 무기를 드랍함.
* 첫번째 보스가 물 타일에 있을 시 체력을 회복함.
- 우물이 있는 방이 나옴. 우물에 아이템을 던질 시 효과도 픽셀던전과 완벽하게 동일(해당 티어의 다른 아이템으로 교체, 아이템 업그레이드, 감정, 회복 우물)
- 보스가 있는 층을 기준으로 던전 구성이 변화하며, 이슬이 회복시켜주는 체력, 허기상태일 때 소모되는 체력, 상점의 아이템 가격이 변화함.
4. 시스템의 유사성
* 풀 타일을 밟으면 풀타일이 사라지고, 랜덤하게 이슬이 나옴. 이 이슬은 체력을 회복시켜주거나 빈병에 담아서 포션으로 사용할 수 있음
* 첫번째 항목과 연계하여, 풀을 자라게 하는 마법과 '빈 병'으로 포션을 무한제조하는 '영농 노가다'가 가능함
- 몬스터가 날고기를 드랍하고, 날고기에 화염포션을 던지거나 화염마법을 사용하면 익힌고기로 변화함. *날고기에 빙결 포션을 던지면 언 고기로 변화함. 같은 효과의 함정에 던져도 같은 효과
- 모든 함정이 픽셀던전의 함정과 완벽히 똑같음. 독함정이나 마비함정이 단순히 플레이어에게 해당 효과를 거는 것이 아니라 독가스, 마비가스를 해당 방에 분출하는것도 유사함
- 유령(몬스터)는 회피율이 굉장히 높지만, 체력이 극도로 낮음. 마법의 성공률이 100%라 유령은 항상 마법으로 잡게 됨.
* 문 타일에 있으면 회피율이 급감하고, 피크리티컬율이 급상승함.
* 식인 물고기는 정상적인 방법으로 잡을 수 없을 정도로 강하며, 텔레포트 마법으로 이동하여 물타일이 아닌 타일에 떨어질 경우 '날고기' 아이템으로 변화함
*표시를 한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표절로 보일 수 밖에 없는 항목들입니다.
그냥 - 표시만 되어있는 것들은 로그라이크 RPG라는 장르의 특성 상 우연히 충분히 겹칠 수 있다고 생각되는 항목들이지만, 그런 항목들이 이렇게 우수수 많다는게 역시 저는 좀 그렇네요.
개인적으로 게임하면서, 그냥 쿼터뷰로 바뀐 픽셀던전을 하는 것과 똑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다른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지나친 제 생각인지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전 아무리 생각해도 너무 비슷한데 구글링을 해봐도 관련 글이 아무것도 없는것도 신기하구요...
던전에서 죽기싫어 라는 모바일 로그라이크가 평이 굉장히 좋길래 다운받아서 해봤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픽셀던전이라는 게임과 너무 비슷하네요. 이거 빼박 표절인 것 같은데 아무런 이야기가 나오지 않아 신기해서 적어봅니다.
1. 티어별로 정해져있는 무기들
뭐 이거야 어쩌다보니 겹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 아이템과 마법의 유사성
- 거의 모든 포션 아이템이 픽셀던전과 완벽하게 동일합니다. 힘 포션, 화염포션, 빙결포션, 투명화포션, 비행포션, 독포션 등등... 뭐 이정도야 어디서든 나올 수 있는 포션들 아니냐.. 라고 생각할 수 있지요. 근데 그게 아래 3번 항목과 겹쳐지면서 상당히 꾸리꾸리한걸로 돌변합니다. 자세한건 3번항목에 설명
- 씨앗 아이템이 있고, 그 씨앗아이템을 던진 후 던진 타일을 밟으면 씨앗에 해당하는 효과가 일어남(씨앗 아이템의 종류도 동일합니다)
* 풀이 자라게 하는 마법(4번항목에 관련 설명이 있습니다.)
3. 던전 구조의 유사성
이게 진짜 아무리 생각해도 빼박캔트인데요.
- 그 층에 잠긴 문이 있으면 무조건 열쇠가 그 층에서 나옴
* 열리지 않는 문이 있으면 위층에 반드시 낭떠러지에 떨어져서 아래층의 잠긴방으로 진입할 수 있는 구조가 있음
- 바리케이트로 막혀있는 방이 있고, 그 바리케이트에 화염포션을 던지면 바리케이트가 불타 그 방으로 진입 가능. *바리케이트가 있는 층에는 무조건 화염포션이 하나 이상 나옴.
* 풀 타일로 가득찬 방이 있고, 해당 방에 진입하면 체력회복속도가 빨라짐
* 물타일로 가득차있고, 식인 물고기 '세 마리'가 반드시 서식하며, 해당 방의 끝쪽에 아이템이 있는 구조의 방이 나옴.
- 함정으로 가득찬 방이 있고, 해당 방의 끝쪽에 아이템이 있는 구조의 방이 나옴
* 비석이 있는 방이 있고, 해당 비석을 클릭하면 아이템이나 유령(몬스터)이 출현함.
* 석상이 있는 방이 있고, 해당 석상은 반드시 인챈트 된 무기를 사용하여 플레이어를 공격함. 석상을 파괴하면 반드시 그 인챈트 된 무기를 드랍함.
* 첫번째 보스가 물 타일에 있을 시 체력을 회복함.
- 우물이 있는 방이 나옴. 우물에 아이템을 던질 시 효과도 픽셀던전과 완벽하게 동일(해당 티어의 다른 아이템으로 교체, 아이템 업그레이드, 감정, 회복 우물)
- 보스가 있는 층을 기준으로 던전 구성이 변화하며, 이슬이 회복시켜주는 체력, 허기상태일 때 소모되는 체력, 상점의 아이템 가격이 변화함.
4. 시스템의 유사성
* 풀 타일을 밟으면 풀타일이 사라지고, 랜덤하게 이슬이 나옴. 이 이슬은 체력을 회복시켜주거나 빈병에 담아서 포션으로 사용할 수 있음
* 첫번째 항목과 연계하여, 풀을 자라게 하는 마법과 '빈 병'으로 포션을 무한제조하는 '영농 노가다'가 가능함
- 몬스터가 날고기를 드랍하고, 날고기에 화염포션을 던지거나 화염마법을 사용하면 익힌고기로 변화함. *날고기에 빙결 포션을 던지면 언 고기로 변화함. 같은 효과의 함정에 던져도 같은 효과
- 모든 함정이 픽셀던전의 함정과 완벽히 똑같음. 독함정이나 마비함정이 단순히 플레이어에게 해당 효과를 거는 것이 아니라 독가스, 마비가스를 해당 방에 분출하는것도 유사함
- 유령(몬스터)는 회피율이 굉장히 높지만, 체력이 극도로 낮음. 마법의 성공률이 100%라 유령은 항상 마법으로 잡게 됨.
* 문 타일에 있으면 회피율이 급감하고, 피크리티컬율이 급상승함.
* 식인 물고기는 정상적인 방법으로 잡을 수 없을 정도로 강하며, 텔레포트 마법으로 이동하여 물타일이 아닌 타일에 떨어질 경우 '날고기' 아이템으로 변화함
*표시를 한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표절로 보일 수 밖에 없는 항목들입니다.
그냥 - 표시만 되어있는 것들은 로그라이크 RPG라는 장르의 특성 상 우연히 충분히 겹칠 수 있다고 생각되는 항목들이지만, 그런 항목들이 이렇게 우수수 많다는게 역시 저는 좀 그렇네요.
개인적으로 게임하면서, 그냥 쿼터뷰로 바뀐 픽셀던전을 하는 것과 똑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다른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지나친 제 생각인지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전 아무리 생각해도 너무 비슷한데 구글링을 해봐도 관련 글이 아무것도 없는것도 신기하구요...
15개의 댓글 |
pixel dungeon 오픈소스 게임이에염
그래서 그거 소스 수정해서 누구나 돈받고 파실 수 있어요! |
|
2017/03/01 11:26
|
근데 느끼는 거지만 결국 깊숙히 들어가면 로그라이크는 모두 rogue, 돌죽, 넷핵, 젤다 표절아니겠습니까
그래서 인디게임계에서 선뜻 표절얘기 꺼내면 역공당하는 경우가 많아서 표절엔 뭔가 관대한 것 같아요 |
|
2017/03/01 11:28
|
1//픽셀던전이 오픈소스인건 아는데... 그건 기본적으로 픽셀던전의 기본 틀은 유지한채일때 아닌가요?
오픈소스라서 법적으로는 문제가 안될지도 모르겠는데... 저런식으로 회사차원에서 아예 다른게임인 척 하는게 문제가 안되는건가요... 알못이라 죄송합니다ㅠㅠ |
|
2017/03/01 11:34
|
그니까 뭐랄까 다른 픽셀던전 개조게임들은 전부 이게 픽셀던전에서 파생된거라는걸 알 수 있잖아요! 근데 아예 자체 개발게임인것처럼 해놓고 저렇게 시스템적으로 유사해버리면 도의적인 문제는 없나 싶어서 그렇습니다ㅠㅠ | |
2017/03/01 11:37
|
픽셀던전이 아무리 오픈소스여도 회사에서 베껴다쓰는건 좀 문제가있지않을까요 | |
2017/03/01 13:28
|
오픈소스는 말 그대로 뿌린 무료 상품권같은거라, 어떻게써도 상관없을겁니다.
애초에 그런 다양한 활용가능성을 목적하여 오픈소스로 올리는거겠구요. 개인이 쓰든 회사가 쓰든 무슨 상관이겠습니까. |
|
2017/03/01 14:11
|
아니 근데 오픈 소스라는 개념 자체가 그 게임을 마음대로 수정할수있다는거지, 시스템이나 컨셉을 가져다가 다른 게임을 만들어도 된다는 말은 아니지 않나요? 제가 오픈소스라는 개념을 잘못알고있는건가... | |
2017/03/01 14:13
|
레고로 생각해보시면 편하죠.
레고 기본블럭을 마음대로 써도 된다고 무료 오픈했을경우, 레고의 특정 조합으로 이루어진 마왕성이나 유령성은 어떨까요. 레고의 사용 예시중 하나로 남을 뿐이지 그것 자체가 어떤 강제력을 가지진 않을거에요. |
|
2017/03/01 14:24
|
8// 그니까 레고는 '레고로 만든'거잖아요.
저건 레고랑 똑같은 블럭 장난감을 출시한 느낌인데... |
|
2017/03/01 14:27
|
9/ 제 중점은 기반자체가 오픈된 사항일 경우 그 결합형태역시 오픈된 내용으로서 일종의 예시에 불과하게되니, 그 구조를 레고로만들던 옥스퍼드로 만들던 상관없다는 것이죠.
컨셉에 대한 지적재산권쪽으로 무게가 실리는듯한데, 오픈된시점에서 상관없다고 보입니다. |
|
2017/03/01 14:40
|
10// 사실 제 오픈소스 개념에 대한 지식이 저드님엫비해 일천한듯 해서,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하시니 그런가보다 하게 됩니다 ㅠㅠ
근데 뭐랄까, 상도덕이라는게 있지 않을까요. 그냥 팬게임도 아니고 엄연히 인앱결제가 존재하는 상업적 게임인데 타 게임과 거의 모든 시스템을 비슷하게 만들어놓고 일언반구도 없다는게... 픽셀던전이 오픈소스라는건 저도 알고있고, 여러가지 바리에이션도 많이 플레이해봤지만 이건 다르잖아요. 딱 잘못됐다!! 라고 말할수는 없지만 뭔가 굉장히 찝찝하달까요... |
|
2017/03/01 15:06
|
11/ 저정도 유사성은... 마나채워서 스킬쓴다는 기믹을 여기저기서 다 쓰는거랑 별 차이없는 수준으로 느껴지네요.
첨언으로... 모바일게임이 죄다 똑같은거 보면 아시겠지만. 상도덕은 죽었습니다 |
|
2017/03/01 15:44
|
12// 별표친 부분도 그렇게 보이시나요? 그럼 제가 이상한가보네요... | |
2017/03/01 16:07
|
13/ 이것도 어디까지나 제 개인의견이라.. 법의영역이 아니라면 다 개인차 아니겠슴깡 | |
2017/03/01 16:16
|
말씀하신 픽셀 던전의 홈페이지(http://pixeldungeon.watabou.ru/)에 가 보았습니다.
개발자가 말하길 픽셀 던전은 아무나 완전 Free하게 사용 가능한 오픈소스 프로그램이랍니다. 던죽이 일반적인 유사성, 표절 문제에서는 벗어났네요. 도의가 있다면 원작자에게 매출의 일부를 기부하고 어디에든 이 게임은 픽던을 참고했다고 언급하면 좋겠지만... 이건 던죽 개발사 사장의 마음에 달렸겠네요. 단, 던죽이 픽셀 던전의 오픈된 소스를 참고했다면 문제의 여지가 있겠습니다. 홈페이지에서, 픽셀 던전은 GPLv3 라이선스를 따른다고 하네요. GPL 소스는 마음대로 가져다 써도 되고 이걸 돈 받고 팔아도 되는데, 가져다 쓴 소스로 만든 프로그램을 외부에 공개할 때는 자신들도 GPLv3에 따라서 소스를 공개해야 합니다. 고로 던죽 개발자들이 픽던 오픈소스를 갖다가 던죽을 만들어서 돈 받고 팔면서도 픽던에 노기부/노언급하는 건 짜증나지만 어쩔 수 없고, 대신 픽던 소스 가져왔으면 너희도 소스 내놓으라고 요구할 수는 있겠습니다. 아래 링크 참조하세요. https://www.gnu.org/licenses/gpl-faq.ko.html#ReportingViolation https://www.gnu.org/philosophy/enforcing-gpl.ko.html |
|
2017/03/02 10:09
|
HOT 게시물 | ![]() |
공식 오픈채팅 |